배수 및 통기설비
배수 및 통기설비
※배수란 건물이나 대지 등에 생긴 오수 빗물 폐수 등을 외부에 배출하는 것이 배수이다.
1. 트랩
1). 트랩의 설치 목적: 배수관속의 악취 벌래 유독가스 등을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
세면기 등의 하부에 설치된 S자. P자 모양의 관으로 봉수가 채워져 있다
2). 봉수의 깊이: 50 ~ 100mm가 적당하다(많으면 막히고, 적으면 봉수파괴가 일어난다).
3). 배수관 트랩의 종류
① 사이편트랩(파이프형태):
㉠S 트랩 è 대변기에 사용. ㉡P 트랩 è 세면기 사용.
㉢U 트랩(가옥. 메인트랩) è 수평관 또는 횡주관의 말단에 사용.
② 비 사이펀(용적형)트랩: 봉수가 파괴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.
㉠드럼트랩 è 싱크대 사용. ㉡벨 트랩 è 바닥에 사용.
③ 저집기(분리기): 트랩의 기능과 불순물 분리기능으로 가지고 있다.
그리스트랩è 기름기 제거. 샌드트랩 è 모래제거. 헤어 트랩 è 미리카랄 제거.
플라스터 è 석고제거(치과기공실, 정형외과 기부스실 등에 적합).
가솔린트랩 è 기름제거(주유소, 세차장 등에). 론드리 트랩 è 세탁불순물 분리제거
2. 트랩의 봉수파괴 원인
. 봉수파괴의 원인 방지방법
① 자기 사이펀작용: S트랩에서 많이 발생. (흡인작용) è통기관설치
② 유인 사이펀작용(흡입. 흡인작용): P 트랩에서 많이 발생 è통기관 설치: 배관의 수직관의 상층
부에서 잘 나타나는 현상으로 상층부에서 다량의 물이 일시에 방출되면 트랩에 있는 봉수가 흡인
되어 빠져나가는 현상이다. --. 상층부에서 자주발생
③ 분출작용(역압작용): 역류에 의한 분출로 하층부에서 발생. è통기관 설치
④ 모세관 현상: 트랩의 출구에 머리카락, 천조각이 걸처있어 발생. è불순물제거
⑤ 증발작용:장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아 말라 없어진 것. è기름사용 유막형성
⑥ 운동량에 의한 관성작용:외부에 충격, 지진 강풍 등에 의해 배출. è격자쇠 설치하여 빠지지 않게한다.
3. 배수관의 구배와 관경
1). 배수관의 구배: 표준구배 = 1/50 ~1/100 정도 à 가능하면 급경사로 한다. 또한 그 배수관경의
구배는 mm로 호징되는 관경의 역수보다 작으면 안 된다. 관경이 100mm 일 때 기울기는 1/100보다
크게 준다.
2). 배수관의 유속: 관경이 250mm 이상일때는 0.6m/sec 이상의 속도가 유지되게 한다.
옥내 배수관은 0.3 ~ 0.6 m/sec 속도가 되어야 한다.
3). 배수설비의 종류.
① 오수: 변기 등에서 배출되는 배수
② 일반잡배수: 싱크대. 욕실 등에서 배출되는 배수.
③ 특수(화학)배수: 실험실. 공장 등의 화학약품 등이 포함된 유해물질, 공업배수
4). 옥내배수와 옥외배수: 건물외벽으로부터 1m 떨어진 곳을 기준으로 옥내배수와 옥외배수로 구분함.
è 옥내 배수관 멘홀 위치까지(멘홀이 건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 있음).
5). 배수관경 결정:
① F.U(급수단위 또는 배수단위): 기준은 세면기를 기준으로 한다.(미국위생기준 협회의 기준임)
사용량은 1분당 30 ℓ(30 ℓ/min) 이다. 또는 28.5 ℓ/min 로 보기도 한다.
② 세면기의 급수단위 = 1단위. 대변기의 급수단위 = 8단위. 소변기의 급수단위 = 4단위.
6). 배수관의 접속순서: 급수단위가 큰 순으로 수직관에 연결된 수평관에 수직으로 배수주관에 가장
가깝게 설치해야 빨리 빠져나간다.
① 대변기의 접속관경은: 최소 75mm 이상 되어야 하고, 배수의 유속은 0.6m/sec ~ 1.2m/sec 이상.
이며, 기름석인 것의 유속은 1.3m/sec 이상이어야 한다.
② 관경은 배수가 흘러가는 것의 1/3 ~ 2/3 정도가 적당하며, 구배는 1/50 ~ 1/100 정도이며. 관경의
역수보다 크게 둔다(50A = 1/50 이상. 100A = 1/100 이상의 구배가 필요함).
③ 청소구의 위치: 막힐 가능성이 큰 곳에 청소구를 둔다.
㉠굴곡진 곳. ㉡접속되는 곳. ㉢말단. ㉣수직관 최하단부. ㉤각 종 트랩.
㉥수펼관의 상단부(100A 이상 à 30m마다 둔다. 100A à 15m 마다 둔다)
7). 배수관에서의 수압시험
① 수압시험 압력: 0.3 kg/㎠의 압력으로 15분 이상.
② 기압시험: 0.35 kg/㎠의 공기압으로 15분 이상.
③ 기밀시험: 연기시험. 박하시험.
④ 통수시험: 최종시험으로 정상적인 배출 유무 확인.
4. 통기관의 목적 및 종류
1). 통기관의 설치목적: ㉠봉수 보호. ㉡배수흐름원활. ㉢환기를 시켜 청결유지.
㉣관내 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.
2). 통기관의 종류
① 각개 통기관: 위생기구 마다 각각 설치:
32A